4월 11일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과 우리나라의 이름이 대한민국이 된 이유

2023. 4. 11. 20:28Daily

728x90

4월 11일임시정부 수립 기념일

안녕하세요 4월 11일 오늘은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입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이름이 탄생한 날이기도 합니다.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대한민국 이름이 탄생의 배경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이름이 대한민국이 된 이유.jpg - DogDrip.Net 개드립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61053312

www.dogdrip.net

 

이 링크의 내용을 요약해드리겠습니다. 

 

1. 우리나라의 국호대한민국 大韓民國 영어로는 Republic of Korea 

2. 5천년 역사에서 대한민국이라는 나라 이름은 어느 왕조에서도 쓴 적이 없는 특이한 이름이었습니다.

3. 칭제건원이 이뤄진 1897년 양력 10월 12일 고종은 환구단에서 제사를 지내고 스스로를 황제라 칭하며, 국호는 대한제국 연호는 광무로 선포했습니다.

4. 한(韓)이라는 한자는 오래전부터 한반도를 가리키는 별칭으로 동아시아에서 널리 사용됐습니다. 삼국통일삼한일통이라고도 했습니다.

5. 1919년 3월 1일 삼일운동에서 국가와 민족의 독립을 선포하며 민족대표 33인이 발행한 3월 3일자 조선독립신문 기사에서 임시정부를 세우고 대통령을 뽑아 민주공화국을 세우자고 했습니다. 

3.1 만세운동, 서세옥 - 출처 뉴욕한국문화원

6. 삼일운동은 규모가 큰 독립운동일뿐만 아니라 정의와 인도에 기초한 신 민주주의 공화국을 세우자고 선포한 공화주의 운동의 일환이었습니다.

7. 1919년 4월 10일 상하이에 망명한 독립운동가들이 모여 29명의 의원을 뽑고 임시의정원이라는 대의제 의회기구를 발족하였습니다. 

8. 이 임시의정원 첫 회의에서 독립국가의 이름을 조선으로 하는지 대한으로 하는지 열띤 토론이 있었고, 여운형 선생은 조선으로, 신석우 선생은 대한 이라는 이름을 지지하였고, 대한으로 흥하자는 의견으로 새나라의 이름은 대한이 되었습니다. 

9. 황제주권을 뜻하는 제국을 빼고 민주공화국이라는 의미의 민국을 넣어 1919년 4월 11일 나라이름을 대한민국으로 정했습니다. 

10. 이 날 내각을 조직하고 헌법에 해당하는 임시헌장을 공포했는데 이 날이 바로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이며 우리 역사상 최초로 민주공화제 정부가 탄생한 순간입니다. 

11. 이 때 제정된 임시헌장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 입니다.. 

제1조
대한민국민주공화제로 한다.

12. 1948년 소집된 제헌국회에서도 임시정부가 채택한 국호 대한민국을 그대로 이어 쓰기로 결정하면서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국호를 쓰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헌법 제1조
1항 대한민국민주공화국이다.
2항 대한민국 주권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국민으로부터 나온다. 

 

13.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이 탄생한 4월 11일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이라는 사실을 모두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요약의 요약의 요약

1. 대한이라는 국호는 고종 황제삼한을 아우르는 통일국가라하여 만든 이름입니다.

2. 삼일운동으로 수립된 임시정부에서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흥하자라며 나라 이름을 대한민국으로 정했습니다.

3. 그 이름을 제헌국회에서 계승하여 나라 이름을 지금까지 대한민국으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728x90